저는 연금저축계좌에서

S&P500 ETF를 85%, 나스닥100 ETF를 15%로 운용하려고 합니다.

여러 가지 세제 혜택이 있어 상당히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 S&P500 ETF를 선택했던 과정과 정확히 동일하게,

나스닥100 ETF도 선택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국내 상장 S&P500 ETF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가총액은 2021.08.26 기준)

 

상품명 운용사 총보수 기타비용 TER* 시가총액 최초상장일 환헤지여부
KBSTAR 미국나스닥100 KB자산운용 0.07 N/A N/A 1150억 2020-11-04 환노출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H) 삼성자산운용 0.45 0.0887 0.5387 847억 2018-08-30 환헤지
KODEX 미국나스닥100TR 삼성자산운용 0.05 N/A N/A 1,063억 2021-04-09 환노출
TIGER 미국나스닥100 미래에셋자산운용 0.07 0.14 0.21 10,945억 2010-10-18 환노출
KINDEX 미국나스닥100 한국투자신탁운용 0.07 0.2717 0.3417 2,279억 2020-10-29 환노출

* TER = Total Expense Ratio, 총보수·비용 비율 = 총 보수 + 기타비용

 

위 상품들 중에서,

저는 아래와 같은 기준을 가지고 선택해보려고 합니다.

저의 주관적인 기준입니다.

 

  1. 저렴한 비용
  2. 환헤지 여부
  3. TR 여부

보통 운용사의 운용능력에 따른 괴리율(시장 가격과 NAV의 차이)도

꽤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금저축계좌의 장기적으로 운용하는 경우에는

크게 중요하다고 느껴지지 않습니다.

어차피 대부분 매도가 아닌 월 1회 매수만 할 것이고,

정규 장 시간동안 매수한다면 크게 문제가 될 것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위 4가지 기준에 대해 상품별로 비교해보겠습니다.


1. 저렴한 비용

ETF 비용에 대한 스터디는 이 글에서 했었습니다.

해당 글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ETF의 총 비용은 '총 보수'만이 아닌 '기타비용'까지 합산한 '총보수·비용비율(TER)'로 따져야 한다.

- ETF의 기타비용은 초기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 매년 달라질 수 있다.

- ETF의 기타비용에는 정액 항목이 있어 ETF 규모가 작으면 그만큼 크게 부담한다.

 

이 3가지를 유념하여 상품별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기타비용의 불확실성 때문에 쉽지가 않습니다.

 

특히, 'KBSTAR 미국나스닥100'과 'KODEX 미국나스닥100TR' 같은 경우

상장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아서 투자설명서에 기타비용이 기재되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기타비용은 발생하지만 1년을 다 채우고 기재가 된다고 합니다.

기타비용이 초기에 많이 발생하고 운용규모가 작을수록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두 상품은 기타비용이 비교적 클 가능성이 있습니다.

게다가 이 두 상품이 다른 상품에 비해 '총 보수'만 봐도 압도적으로 낮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H)'은 환헤지 상품이라 그런지,

'총 보수'만 봐도 다른 상품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군요.

기타비용까지 합산한 TER을 봐도 가장 높으므로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KBSTAR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H)

KODEX 미국나스닥100TR

TIGER 미국나스닥100

KINDEX 미국나스닥100

 

남은 상품은 TIGER와 KINDEX 상품인데,

운용규모와 수수료 면에서 TIGER가 KINDEX보다 나아보입니다.

다만, KINDEX는 상장한지 1년이 안돼서,

앞으로 기타비용이 낮아지면서 TER이 내려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후에 지켜보면서 TER이 저렴해지면 교체를 고려하겠습니다.

 

비용을 기준으로 했을 때

최종적으로 선택한 상품은 'TIGER 미국나스닥100'입니다.

 

 

2. 환헤지 여부

이 글에서는 환헤지와 환노출을 이용하는 전략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환율이 1127.76 (역사적 평균)을 기준으로 진동한다는 가정 하에,
환율이 1127.76 아래 → 환율 상승 확률이 높으므로 환노출 상품 매수
환율이 1127.76 위 → 환율 하락 확률이 높으므로 환헤지 상품 매수

 

이전에 올린 S&P500 ETF를 선택하는 글에서는

위 전략대로 환노출, 환헤지 상품을 번갈아서 매수하는 전략을 실행하기로 정했습니다.

그런데 나스닥 ETF 상품 중에서 환헤지 상품은

'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H)' 밖에 없는데,

1에서 환노출 상품 중 고른 'TIGER 미국나스닥100'보다 TER이 2배 이상 비쌉니다.

따라서 나스닥 ETF는 그냥 이 전략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3. TR 여부

이 글에서 다루었던 것처럼

TR이란 Total Return의 약자로, ETF의 기초자산으로부터 나오는 분배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해주는 상품입니다.

반면 재투자하지 않고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는 PR (Price Return) 상품이라고 합니다.

보통 TR 상품을 투자하는 가장 큰 이유는

원천징수되는 배당소득세 15.4%를 피하기 위함인데,

연금저축계좌에서 운용하는 경우 이는 해당되지 않습니다(관련 내용 이 글 참고).

따라서 아래와 같이 선호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분배금을 지급받아 원하는 타이밍에 추가매수 하고 싶다 → PR 상품 매수
이게 귀찮고 그냥 자동으로 투자되면 좋겠다 → TR 상품 매수

 

S&P500 ETF에서와 마찬가지로,

분배금을 원하는 타이밍에 사용하고 싶어서 PR 상품으로 매수하려고 합니다.

 

 

4. 결론

저의 경우 주관적인 기준을 설정하고

1부터 3까지 그 기준을 놓고 상품을 비교해본 결과,

최종적으로 'TIGER 미국나스닥100'으로 채우기로 결정했습니다.]

 

결론: 연금저축계좌에 나스닥100 ETF를 편입하려면 'TIGER 미국나스닥100'이 가장 나은 것 같다(주관적 의견).

저는 연금저축계좌에서

S&P500 ETF를 85%, NASDAQ ETF를 15%로 운용하려고 합니다.

여러 가지 세제 혜택이 있어 상당히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결정했다면 남은 문제는

S&P500 ETF와 NASDAQ ETF의 여러 상품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 입니다.

 

먼저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금저축계좌용 S&P500 ETF를 선택하는 과정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현재 국내 상장 S&P500 ETF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가총액은 2021년 8월 23일 종가 기준)

 

번호 상품명 운용사 총보수 기타비용 TER* 시가총액 최초상장일 환헤지여부
1 KBSTAR 미국S&P500 KB자산운용 0.021 N/A N/A 366억 2021-04-07 환노출
2 TIGER 미국S&P500 미래에셋자산운용 0.07 0.34 0.41 5,571억 2020-08-07 환노출
3 TIGER 미국S&P500선물(H) 미래에셋자산운용 0.3 0.06 0.36 2,448억 2011-07-15 환헤지
4 KODEX 미국S&P500TR 삼성자산운용 0.5 N/A N/A 1,103억 2021-04-09 환노출
5 KODEX 미국S&P500선물(H) 삼성자산운용 0.25 0.0563 0.3063 1,243억 2015-05-29 환헤지
6 KINDEX 미국S&P500 한국투자신탁운용 0.07 0.4008 0.4708 3,104억 2020-08-07 환노출
7 ARIRING 미국S&P500(H) 한화자산운용 0.3 0.199 0.499 367억 2017-05-16 환헤지

* TER = Total Expense Ratio, 총보수·비용 비율 = 총 보수 + 기타비용

 

위 상품들 중에서,

저는 아래와 같은 기준을 가지고 선택해보려고 합니다.

저의 주관적인 기준입니다.

 

  1. 저렴한 비용
  2. 환헤지 여부
  3. TR 여부

 

보통 운용사의 운용능력에 따른 괴리율(시장 가격과 NAV의 차이)도

꽤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금저축계좌의 장기적으로 운용하는 경우에는

크게 중요하다고 느껴지지 않습니다.

어차피 대부분 매도가 아닌 월 1회 매수만 할 것이고,

정규 장 시간동안 매수한다면 크게 문제가 될 것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위 4가지 기준에 대해 상품별로 비교해보겠습니다.


1. 저렴한 비용

ETF 비용에 대한 스터디는 이 글에서 했었습니다.

해당 글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ETF의 총 비용은 '총 보수'만이 아닌 '기타비용'까지 합산한 '총보수·비용비율(TER)'로 따져야 한다.

- ETF의 기타비용은 초기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 매년 달라질 수 있다.

- ETF의 기타비용에는 정액 항목이 있어 ETF 규모가 작으면 그만큼 크게 부담한다.

 

이 3가지를 유념하여 상품별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기타비용의 불확실성 때문에 쉽지가 않습니다.

 

우선 최근 상장(2년 미만)되어 기타비용이 불확실한 상품과

상장한지 좀 되어(2년 이상) 기타비용이 수렴했을 것이라 예상되는 상품으로 분류해보겠습니다.

 

최근 상장(2년 미만)된 그룹, 상품명(TER)

  1. KBSTAR 미국S&P500 (N/A) → 주관적 추측 TER = 0.391
  2. TIGER 미국S&P500 (0.41)
  3. KODEX 미국S&P500TR (N/A) → 주관적 추측 TER = 0.87
  4. KINDEX 미국S&P500 (0.4708)

2년 미만 그룹 중에서 1, 3은 아직 상장한지 1년도 안돼서

기타비용 자체가 계산되어 나오지 않습니다.

2, 4의 경우 상장한지 1년이 지나 기타비용이 계산되었는데요,

1, 3의 경우도 2, 4와 비슷한 수준으로 기타비용이 나온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2, 4의 대략적인 기타비용 평균 = 0.37이 나온다고 하면,

1, 3은 각각 TER이 0.391, 0.87 정도로 예상이 됩니다.

그런데 한 가지 더 고려할 점이 2, 4는 규모(시가총액)이 작습니다.

따라서 기타비용이 1, 3에 비해 크게 나올 가능성이 꽤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2, 4의 기타비용이 낮게 나오는 쪽으로 가정해도

비용이 낮은 순서는 1 > 2 > 4 > 3 이네요.

하지만 1의 기타비용을 시가총액 대비 긍정적으로 예측했다는 점과,

1과 2의 TER 차이가 0.019 정도로 작다는 점과,

2의 기타비용이 1년차에 많이 집계된 것이고 점점 줄어들 것을 기대한다면,

2. TIGER 미국S&P500을 선택하는 것이

현재로써는 가장 합리적이라고 보여집니다.

 

물론, 추후 기타비용이 발표되고

기타비용의 변동에 따라서 상품을 다시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장 후 2년 이상된 그룹, 상품명(TER)

  1. TIGER 미국S&P500선물(H) (0.36)
  2. KODEX 미국S&P500선물(H) (0.3063)
  3. ARIRING 미국S&P500(H) (0.499)

이들은 상장한지 다들 2년 이상 지났기 때문에,

별로 고민할 것이 없습니다.

2. KODEX 미국S&P선물(H)가 가장 저렴하네요.

 

운이 좋게도,

두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첫 번째 그룹은 모두 환노출 상품,

두 번째 그룹은 모두 환헤지 상품으로 나뉘었네요. 따라서,

환노출 상품을 매수하고자 한다면 TIGER 미국S&P500을,

환헤지 상품을 매수하고자 한다면 KODEX 미국S&P500선물(H)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2. 환헤지 여부

이 글에서는 환헤지와 환노출을 이용하는 전략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환율이 1127.76 (역사적 평균)을 기준으로 진동한다는 가정 하에,
환율이 1127.76 아래 → 환율 상승 확률이 높으므로 환노출 상품 매수
환율이 1127.76 위 → 환율 하락 확률이 높으므로 환헤지 상품 매수

 

일단은 이 전략 그대로 실천해보고자 합니다.

따라서, 월 1회 매수할 때마다 환율을 체크하고,

1127.76원 아래인 경우 TIGER 미국S&P500 (환노출 상품) 매수

1127.76원 위인 경우 KODEX 미국S&P500선물(H) (환헤지 상품) 매수

이렇게 기계적으로 전략을 실행하면 되겠습니다.

 

 

3. TR 여부

이 글에서 다루었던 것처럼

TR이란 Total Return의 약자로, ETF의 기초자산으로부터 나오는 분배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해주는 상품입니다.

반면 재투자하지 않고 분배금을 지급하는 ETF는 PR (Price Return) 상품이라고 합니다.

보통 TR 상품을 투자하는 가장 큰 이유는

원천징수되는 배당소득세 15.4%를 피하기 위함인데,

연금저축계좌에서 운용하는 경우 이는 해당되지 않습니다(관련 내용 이 글 참고).

따라서 아래와 같이 선호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분배금을 지급받아 원하는 타이밍에 추가매수 하고 싶다 → PR 상품 매수
이게 귀찮고 그냥 자동으로 투자되면 좋겠다 → TR 상품 매수

 

국내 상장 S&P500 ETF 중에는 TR 상품이

KODEX 미국S&P500TR 밖에 없습니다.

위에서 본 것처럼 이 상품이 비용적으로 꽤 비싸기도 하고,

분배금을 원하는 타이밍에 사용하고 싶어서 PR 상품으로 매수하려고 합니다.

 

 

4. 결론

저의 경우 주관적인 기준을 설정하고

1부터 3까지 그 기준을 놓고 상품을 비교해본 결과,

명확하게 두 가지 상품이 남았고

그 두 상품을 매수하는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1127.76원 아래인 경우 TIGER 미국S&P500 매수
1127.76원 위인 경우 KODEX 미국S&P500선물(H) 매수

 

만약 필터를 거쳤을 때 더 여러 가지 상품이 남았다면,

1주당 가격(리밸런싱 용이성)과 괴리율 등을 놓고 좀더 비교했겠지만

다행히 여기서 끝나주네요.

 

당분간 이 규칙을 따라 운용하고,

추가적으로 알게되는 것이 생기거나 

업데이트할 부분이 있으면 보완해 나가려고 합니다.

S&P500 ETF 상품을 고를 때,

또 한 가지 고민해보아야 할 선택 기준은 

환헤지 여부입니다.

 

현재까지 상장된 S&P500 ETF는 아래와 같습니다.

 

상품명 환노출 여부 현물 or 선물 총 보수 (%)
KBSTAR 미국S&P500 환노출 현물 0.021
TIGER 미국S&P500 환노출 현물 0.07
TIGER 미국S&P500선물(H) 환헤지 선물 0.3
KODEX 미국S&P500TR 환노출 현물 0.5
KODEX 미국S&P500선물(H) 환헤지 선물 0.25
KINDEX 미국S&P500 환노출 현물 0.07
ARIRING 미국S&P500(H) 환헤지 선물 0.3

 

이름 뒤에 (H)가 붙은 것들이 환헤지 상품

안 붙은 것들이 환노출 상품입니다.

 

1. 환헤지 개념

환헤지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환율로 인한 변동을 없애주는 것인데,

S&P500 지수가 5% 오르면 ETF도 5% 오르기를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오르지 않거나

환율이 오르면 그보다 더 오를 수도 있습니다.

환헤지 상품들은 운용사에서 이런 환율에 의한 변동을 없애주는 방식으로 운용하여

S&P500 지수를 달러 기준으로 동기화해주는 것입니다.

 

반대로 환노출은 환율에 의한 변동에 노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같은 기초자산) ETF라고 하더라도

환헤지 상품과 환노출 상품의 움직임이 달라집니다.

 

환헤지 상품: S&P500 지수 추종 + 환율에 인한 변동 없애줌

환노출 상품: S&P500 지수 추종 + 환율에 의한 변동에 노출

 

상황을 좀 더 쉽게 이해해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해외 지수 기준입니다.

 

Case 1) 지수 상승, 환율 상승

지수 10% 상승: 4000 → 4400

환율 10% 상승: 1000 → 1100

환헤지 상품: 지수 상승분 10% 수익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상승분 10% * 환율 상승분 10% → 1.1 * 1.1 = 1.21 (21% 수익)

환노출

 

Case 2) 지수 상승, 환율 하락

지수 10% 상승: 4000 → 4400

환율 10% 하락: 1000 → 900

환헤지 상품: 지수 상승분 10% 수익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상승분 10% * 환율 하락분 -10% → 1.1 * 0.9 = 0.99 (1% 손해)

환헤지 승

 

Case 3) 지수 하락, 환율 상승

지수 10% 하락: 4000 → 3600

환율 10% 상승: 1000 → 1100

환헤지 상품: 지수 하락분 10% 손해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하락분 -10% * 환율 하락분 10% → 0.9 * 1.1 = 0.99 (1% 손해) 

환노출

 

Case 4) 지수 하락, 환율 하락

지수 10% 하락: 4000 → 3600

환율 10% 하락: 1000 → 900

환헤지 상품: 지수 하락분 10% 손해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하락분 -10% * 환율 하락분 -10% → 0.9 * 0.9 = 0.81 (19% 손해) 

환헤지 승

 

같은 지수 움직임일 때,

환율이 하락하면 환헤지 승

환율이 상승하면 환노출

 

-

 

그렇다면 환헤지, 환노출 상품 중에 어떤게 좋을까요?

이것에 대한 답은 알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결국 이 둘 중 뭐가 더 좋을지 판단하려면,

미래 환율의 움직임을 예측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아래와 같이 대응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환율이 역사적 평균을 기준으로 진동한다는 가정 하에,
환율이 역사적 평균 아래 → 환율 상승 확률이 높으므로 환노출 상품 매수
환율이 역사적 평균 위 → 환율 하락 확률이 높으므로 환헤지 상품 매수

 

2. 과거 환율 추이

과거 환율 추이 데이터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데이터 출처: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8)

과거 환율 추이 (평균치 = 1127.76원)

2000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의 데이터인데,

1127.76원을 평균으로 해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위에서 언급한 전략대로 한다면,

환율이 빨간색 선(평균) 위일 때는 환헤지 상품 매수,  

환율이 발간색 선(평균) 아래일 때는 환노출 상품 매수

이런 식으로 하면 되겠습니다.

물론, 환율의 움직임이 과거와 다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이런 전략으로 하는게 과연 정말 이득일까요? 

위 논리대로라고 하면 그렇지만, 추가적으로 고려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비용적인 부분입니다.

 

 

3. 이 전략의 비용

환율 기준선(평균)을 두고 환헤지, 환노출 상품을 매수하면 과연 이득일까요?

보통은 환헤지 상품이 더 높은 수수료를 받는다고 하네요.

처음 보여드린 표에서 총 보수를 비교해봐도 대체로 환헤지 상품들이 높습니다.

 

기타비용도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상장된지 얼마 되지 않은 ETF들이 많아서,

기타비용 자체가 아직 나와 있지 않거나,

초기에 과다지출된 기타비용으로 계산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단 총 보수와 기타비용까지 합산한 총보수비용비율(TER)로 정확한 비교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TER로 비교가 가능하더라도,

위 전략으로 했을 때의 이득과,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을 비교해야하는데

둘 다 정확히 계산하기가 어렵습니다.

 

총 보수만 가지고 대략적이나마 생각해보겠습니다.

환노출 중 가장 저렴한 KBSTAR와 환헤지 중 가장 저렴한 KODEX 비교했을 때,

전략 실행 시 추가 비용은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1년 중 환율이 평균보다 전략 실행 시 추가 비용 (%) 비고
계속 낮으면 0.021  환노출 상품만 매수하므로 추가 연보수 없음
절반은 높고 절반은 낮으면 0.1145(*) 환노출 환헤지 절반씩 매수
계속 높으면 0.229(**) 환헤지 상품만 매수

* {(0.021 + 0.25) / 2} - 0.021 = 0.1145

** 0.25 - 0.021 = 0.229

 

최악의 경우가 환율이 평균보다 계속 높아 환헤지 상품만 매수하여

연 0.229의 추가 비용을 내는 경우인데,

전략을 실행해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이보다 크다면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사실 환헤지 상품은 분배금도 지급되지 않아 비용 차이가 더 큽니다)

 

개인적인 '감'으로는 이것보다는 이득이 클 것 같은데,

현재로써는 어림잡을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도 어쨌든 저는 이렇게 한 번 실행해보려고 합니다.

해보면서 전략이 별로다 싶으면 그때가서 전략을 없애든,

다른 대안을 고민해보든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