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ETF 상품을 고를 때,
또 한 가지 고민해보아야 할 선택 기준은
환헤지 여부입니다.
현재까지 상장된 S&P500 ETF는 아래와 같습니다.
상품명 | 환노출 여부 | 현물 or 선물 | 총 보수 (%) |
KBSTAR 미국S&P500 | 환노출 | 현물 | 0.021 |
TIGER 미국S&P500 | 환노출 | 현물 | 0.07 |
TIGER 미국S&P500선물(H) | 환헤지 | 선물 | 0.3 |
KODEX 미국S&P500TR | 환노출 | 현물 | 0.5 |
KODEX 미국S&P500선물(H) | 환헤지 | 선물 | 0.25 |
KINDEX 미국S&P500 | 환노출 | 현물 | 0.07 |
ARIRING 미국S&P500(H) | 환헤지 | 선물 | 0.3 |
이름 뒤에 (H)가 붙은 것들이 환헤지 상품
안 붙은 것들이 환노출 상품입니다.
1. 환헤지 개념
환헤지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환율로 인한 변동을 없애주는 것인데,
S&P500 지수가 5% 오르면 ETF도 5% 오르기를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오르지 않거나
환율이 오르면 그보다 더 오를 수도 있습니다.
환헤지 상품들은 운용사에서 이런 환율에 의한 변동을 없애주는 방식으로 운용하여
S&P500 지수를 달러 기준으로 동기화해주는 것입니다.
반대로 환노출은 환율에 의한 변동에 노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같은 기초자산) ETF라고 하더라도
환헤지 상품과 환노출 상품의 움직임이 달라집니다.
환헤지 상품: S&P500 지수 추종 + 환율에 인한 변동 없애줌
환노출 상품: S&P500 지수 추종 + 환율에 의한 변동에 노출
상황을 좀 더 쉽게 이해해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해외 지수 기준입니다.
Case 1) 지수 상승, 환율 상승
지수 10% 상승: 4000 → 4400
환율 10% 상승: 1000 → 1100
환헤지 상품: 지수 상승분 10% 수익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상승분 10% * 환율 상승분 10% → 1.1 * 1.1 = 1.21 (21% 수익)
→ 환노출 승
Case 2) 지수 상승, 환율 하락
지수 10% 상승: 4000 → 4400
환율 10% 하락: 1000 → 900
환헤지 상품: 지수 상승분 10% 수익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상승분 10% * 환율 하락분 -10% → 1.1 * 0.9 = 0.99 (1% 손해)
→ 환헤지 승
Case 3) 지수 하락, 환율 상승
지수 10% 하락: 4000 → 3600
환율 10% 상승: 1000 → 1100
환헤지 상품: 지수 하락분 10% 손해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하락분 -10% * 환율 하락분 10% → 0.9 * 1.1 = 0.99 (1% 손해)
→ 환노출 승
Case 4) 지수 하락, 환율 하락
지수 10% 하락: 4000 → 3600
환율 10% 하락: 1000 → 900
환헤지 상품: 지수 하락분 10% 손해 (환율과 상관 x)
환노출 상품: 지수 하락분 -10% * 환율 하락분 -10% → 0.9 * 0.9 = 0.81 (19% 손해)
→ 환헤지 승
같은 지수 움직임일 때,
환율이 하락하면 환헤지 승
환율이 상승하면 환노출 승
-
그렇다면 환헤지, 환노출 상품 중에 어떤게 좋을까요?
이것에 대한 답은 알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결국 이 둘 중 뭐가 더 좋을지 판단하려면,
미래 환율의 움직임을 예측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아래와 같이 대응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환율이 역사적 평균을 기준으로 진동한다는 가정 하에,
환율이 역사적 평균 아래 → 환율 상승 확률이 높으므로 환노출 상품 매수
환율이 역사적 평균 위 → 환율 하락 확률이 높으므로 환헤지 상품 매수
2. 과거 환율 추이
과거 환율 추이 데이터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데이터 출처: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8)
2000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의 데이터인데,
1127.76원을 평균으로 해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위에서 언급한 전략대로 한다면,
환율이 빨간색 선(평균) 위일 때는 환헤지 상품 매수,
환율이 발간색 선(평균) 아래일 때는 환노출 상품 매수
이런 식으로 하면 되겠습니다.
물론, 환율의 움직임이 과거와 다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이런 전략으로 하는게 과연 정말 이득일까요?
위 논리대로라고 하면 그렇지만, 추가적으로 고려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비용적인 부분입니다.
3. 이 전략의 비용
환율 기준선(평균)을 두고 환헤지, 환노출 상품을 매수하면 과연 이득일까요?
보통은 환헤지 상품이 더 높은 수수료를 받는다고 하네요.
처음 보여드린 표에서 총 보수를 비교해봐도 대체로 환헤지 상품들이 높습니다.
기타비용도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상장된지 얼마 되지 않은 ETF들이 많아서,
기타비용 자체가 아직 나와 있지 않거나,
초기에 과다지출된 기타비용으로 계산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단 총 보수와 기타비용까지 합산한 총보수비용비율(TER)로 정확한 비교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TER로 비교가 가능하더라도,
위 전략으로 했을 때의 이득과,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을 비교해야하는데
둘 다 정확히 계산하기가 어렵습니다.
총 보수만 가지고 대략적이나마 생각해보겠습니다.
환노출 중 가장 저렴한 KBSTAR와 환헤지 중 가장 저렴한 KODEX 비교했을 때,
전략 실행 시 추가 비용은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1년 중 환율이 평균보다 | 전략 실행 시 추가 비용 (%) | 비고 |
계속 낮으면 | 0.021 | 환노출 상품만 매수하므로 추가 연보수 없음 |
절반은 높고 절반은 낮으면 | 0.1145(*) | 환노출 환헤지 절반씩 매수 |
계속 높으면 | 0.229(**) | 환헤지 상품만 매수 |
* {(0.021 + 0.25) / 2} - 0.021 = 0.1145
** 0.25 - 0.021 = 0.229
최악의 경우가 환율이 평균보다 계속 높아 환헤지 상품만 매수하여
연 0.229의 추가 비용을 내는 경우인데,
전략을 실행해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이보다 크다면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사실 환헤지 상품은 분배금도 지급되지 않아 비용 차이가 더 큽니다)
개인적인 '감'으로는 이것보다는 이득이 클 것 같은데,
현재로써는 어림잡을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도 어쨌든 저는 이렇게 한 번 실행해보려고 합니다.
해보면서 전략이 별로다 싶으면 그때가서 전략을 없애든,
다른 대안을 고민해보든 하겠습니다.
'투자 > 연금저축계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계좌용 국내 상장 S&P500 ETF 상품 선택하는 법 (0) | 2021.08.25 |
---|---|
연금저축계좌에 S&P500 ETF PR vs TR (1) | 2021.08.25 |
ETF의 총 비용 (총 보수와 기타비용) (1) | 2021.08.22 |
연금저축계좌로 S&P500, 나스닥 ETF 매수 시 세금 (0) | 2021.08.16 |
연금저축계좌 포트폴리오 (0) | 2021.08.14 |